11일차, 러시아 (2019, 8,17 ~ 8, 28) 모스크바 / 크레물린 궁전
드디어 오늘은 여행의 마지막 날! 공산주의의 원조, 공포정치 그리고 추운 시베리아가 연상되는 러시아의 수도인 모스크바로 간다. 12일의 장기 여행이라 지루할 줄 알았는데 어느새 지나갔는지 아쉬운 마음뿐이다. 새벽부터 서둘러 페트라부르크 공항에서 출발했지만, 모스크바에 도착하면서 버스는 피곤한 몸을 싣고 보드카의 나라, 붉은 나라의 중심속으로 달려간다. 모스크바는 1921년 러시아 혁명 이후 소련의 수도가 되었으며 오늘날 러시아의 정치뿐만 아니라 러시아 최대 공업생산지 이고, 경제, 문화, 과학, 교육 등의 중심 도시이다 이 곳의 상주인구는 1300만명 정도이며 기타 불법체류자까지 포함하면 1500만명이 넘는다고 한다. 하늘을 보니 구름이 잔뜩 끼면서 금방 비라도 내릴 기세다. 또 출근시간 대라 교통체증이..
2019. 9. 13.
10일차, 에스토니아 (2019, 8, 17 ~ 8, 28) 탈린/ 네프스키 성당, 톰페아 언덕, 시청사 광장
에스토니아공화국(Republic of Estonia)은, 발트 3국의 하나로 러시아 북서부에 위치하며. 인구는 126만 5420명(2015년 현재), 수도는 탈린(Tallinn)이다. 종족구성은 에스토니아인 65.3%, 러시아인 28.1%, 우크라이나인 2.5%, 벨라루시인 1.6% 등이다. 언어는 에스토니아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하고, 종교는 대부분 기독교(루터교)이고, 러시아정교도 믿는다. 1991년 9월 6일 소련에서 독립을 쟁취하였다. 독립국가연합(CIS)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1992년 6월 구소련 공화국 가운데 최초로 구소련 화폐인 루불(Rouble)화를 전면 금지시키고 크룬(Kroon)화를 유일한 법정화폐로 선포하였다. 유럽연합의 회원국으로서 경제적으로 발달했으며, 소련..
2019. 9. 11.
9일차, 스웨덴 (2019, 8, 17 ~ 8, 28) 스톡홀름/ 시청사, 감라스탄 지구, 바사 박물관
오늘은 여행을 떠난지 9일째 되는 날이다. 얼마 남지 않은 일정도 알차고 유익한 여행이 되기 바라면서, 오늘은 노벨상과 니케아로 알려진 스웨덴의 스톡홀름 일정이며 간략하게 알아보자. 북부 스칸디나비아반도에 있는 입헌군주국으로 인구는 980만명이고 수도는 스톡홀름이다. 국민 대다수는 스웨덴인이며 공용어는 스웨덴어이고, 85%가 복음주의 루터교를 믿고 있으며 화폐단위는 스웨덴크로나(SEK)이다 주로 서비스업·중공업·국제무역 등을 기초로 한 선진화된 시장경제체제를 이루고 있으며 주요산업은 광업·벌목·철강·관광 등이다 또 폭넓은 사회보장제도를 펼치는 세계적인 복지국가이며 1인당 GNP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편이다 스웨덴에는 KOTRA를 비롯하여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LG전자 등의 업체가 진출해 ..
2019. 9. 10.
8일차, 덴마크 코펜하겐 (2019, 8, 17 ~ 8, 28) / 게피온 분수대, 아멜리엔보르 궁전, 니하운 운하, 인어공주 동상, 시청광장
오늘 일정은 동화의 나라 덴마크 코펜하겐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란 말이 있듯이 알찬 여행을 위하여 간략한 지식이 필요하다. 덴마크는 유틀란트 반도와 동쪽 해상의 군도로 이루어져 있고, 자치령으로 그린란드와 페로 제도가 있다. 인구는 580만명이고 국민의 3분의 1이 수도 코펜하겐에 산다. 겨울은 최저 영하2도, 여름기온은 영상 20도로 연중 온화한 기후를 나타내며 산이 없는 나라다. 국민 대다수는 덴마크인이고, 공용어는 덴마크어이다. 국교는 복음주의 루터교이며, 화폐단위는 덴마크크로네(Danish Krone/DKK)이다 낙농업이 유명하고 식료품·철강·화학·기계공업 등이 발달했으며, 수산업도 성하다 세계에서 가장 생활수준이 높고 사회복지제도가 잘 갖춰져 있으며, 입헌군주국가로 국가원수는 ..
2019. 9. 10.